[치아보존]매복 사랑니로 인해 앞의 치아에 생긴 충치의 치료

치과의사 정의준
2024-01-03
조회수 27

안녕하세요. 


폭염이 지속되는 8월에도,

사랑니의 통증으로 인해 내원해주시는 환자분들의 걱정을

해결해드리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쌍문역 강북감동치과 대표원장 정의준입니다.


사랑니 꼭 뽑아야 하나요?

입안 깊숙한 곳에 위치한 아래 매복 사랑니

모든 사랑니를 뽑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사랑니는 그 위치적 특성상 발치가 고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관리가 어려운 경우

사랑니는 입 안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똑바로 난 사랑니도 관리가 어렵습니다.


2. 잇몸이 붓거나 양치 시에 피가 나는 등 통증이나 증상이 생긴 경우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잇몸 질환이 생기기 쉽습니다.

또한 사랑니도 치아기 때문에 충치가 심하게 생기기도 합니다.

통증이나 증상이 반복된다면 사랑니 발치를 고민해볼 시기입니다.


3. 앞의 큰 어금니까지 충치(치아 우식)가 번진 경우

누워있는 사랑니의 경우 그 틈새로 음식물이 끼기 쉽고,

관리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미리 사랑니를 발치했다면 생기지 않았을 충치들이,

발치 시기가 늦어져서 안타깝게도 앞의 치아까지 상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랑니로 인해서 앞의 치아 신경치료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치료 시기가 너무 늦어지는 경우에는, 앞의 큰 어금니를 발치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입 안에 사랑니가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발치하는 것은 아니고,

간혹 이 사랑니를 잘 살려서 다른데 쓰는 경우도 있기도 하고(치아 재식술 등),

교정 치료 시에 공간 확보를 위해 발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여러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여 사랑니 발치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한 케이스를 살펴보겠습니다.


파노라마 사진에서 오른쪽이 실제 환자분의 왼쪽 치아입니다. 2023. 2


왼쪽 아래 사랑니의 발치를 원하셨던 환자분으로,

저희 치과를 방문하셨던 가족의 소개로 내원하시게 되었습니다.


이 환자분의 왼쪽 아래(파노라마 사진 상 우측) 치아들에 대해서 평가해보면,

첫 내원 당시의 구강 내 상태 (좌측) / 상태 분석(우측) 2023. 2


이 환자분은 앞에서 설명드린 요인들 중에,

     3. 앞의 큰 어금니까지 충치(치아 우식)가 번진 경우

에 해당하시는 케이스 였습니다.


어려운 케이스이지만, 매복된 사랑니 발치를 진행하고, 

앞의 치아는 신경치료와 레진 코어, 지르코니아 크라운 치료를 통해서 살려보는

치료 계획을 설명드렸고 환자분의 동의 하에 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치료 중 충치 제거 과정 중의 모습 2023. 2


 치료 전과 후의 모습, 치아 뿌리 염증이 회복되어 가는 양상입니다.

2023. 2 (좌측) - 2024. 3(우측)


발치와 신경치료, 보철치료까지 모두 마무리를 하였습니다.

치료에 만족하셨던 환자분께서는 나머지 치료도 모두 진행을 희망하셔서,

뿌리만 남은 치아들의 임플란트 치료까지 마무리 하였습니다.





 


2023. 2


 2024. 3




사실 저도 학생 시절 매복 사랑니로 인해서 고생을 했었는데요.

시험 기간에 생긴 통증을 약 먹으면서 버티다가 방학이 되자마자

당시 치과병원 구강외과에서 펠로우로 근무하시던 동아리 선배님께 부탁드려

매복 사랑니를 뽑았던 기억이 나는데요.



엄청 바쁘신 와중에도 능수능란하게 발치하시는 모습을 직접 체험(?)하며,

저도 나중에 사랑니로 인해서 힘들어하시는 환자분들께서

멀리 대학병원을 가지 않아도 안전하게 사랑니 발치를 받으실 수 있도록

도움이 되겠다는 다짐을 했었습니다.


다행히도 치과 진료를 하며 많은 환자분들을 만나뵈며,

그 다짐을 꾸준히 지켜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평소에 사랑니에 대한 불편감이 있으셨다면!

휴가 혹은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사랑니 발치를 미리 진행하시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의료법 제23조 및 제56조 관련

본 포스팅의 모든 임상 사진은 환자 동의하에 게재하였습니다. 


진료 내용: 매복 사랑니 발치, 지르코니아 크라운, 재근관치료 등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하치조신경 감각이상, 보철물 탈락, 치근단 병소 등

치료 시작: 2023. 3

치료 종료: 2023. 12



 진료 시간 ◻

월·수·금오전 9:30 - 오후 6:30
화 · 목오전 9:30 - 오후 8:30
토요일오전 9:30 - 오후 2:00


매주 화요일 · 목요일 야간 진료 

점심시간 오후 1시 - 오후 2시
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이 진료 

일요일·공휴일 - 진료 휴무



(이미지 클릭 시 네이버 지도로 연결됩니다.)


서울시 도봉구 도봉로 477 3층

지하철 4호선 쌍문역 3번 출구 
이영수의원 건물 3층



mobile background

진료 시간 안내


월·수·금    오전 9:30 - 오후 6:30

  화  ·  목      오전 9:30 - 오후 8:30

 토요일      오전 9:30 - 오후 6:30


화요일 · 목요일 야간 진료

점심시간 오후 1시 - 오후 2시

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이 진료
일요일·공휴일 - 진료 휴무


전화 문의 02)6080-2828